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lack
- 6.2.7
- RDS
- RDBMS
- opensource
- Cloud DB for MySQL
- Docker
- jmeter
- InnoDB
- NOSQL
- percona
- maxclients
- NCP
- DELETE
- mysql
- zabbix
- mongo
- Maria
- online ddl
- postgresql
- 성능테스트
- OD
- DML
- cdb
- ncloud
- autovacuum
- MyISAM
- Connection
- vacuum
- REDI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5)
개인 공부

많은 회사들이Database cache server용으로 Redis를 이용한다는 말을 듣고 Redis에 대해 공부해보기로 하였다. 오늘은 간단한 Redis 설치 과정에대해 포스팅해야지.. 1. Redis란? - 레디스는 Key-Value 구조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Opensource 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 레디스는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드해 처리하는 메모리 기반 DBMCS이다. - 데이터 구조로는 String / List / Set / Sorted Set / Hashes를 지원하고 있다. - 많은회사에서 사용되고있으며 안전성 이나 성능면에서 검증된 Database이다. 2. Redis 설치 1) 패키지 설치 - Redis를 설치하기전에 Compile할시 필요한 패키지 설치..

오늘은 MariaDB에서 MSSQL로의 DBLINK에 관하여 글을 쓸 예정이다. 최근 고객사에서 MariaDB에서 MSSQL로 DBLINK를 맺어달라 문의를 받아서 해보게 되었다. MariaDB의 Connect Engine을 이용해서 DBLINK을 맺을 예정이다. 0. Connect Engine?- Connect Storage Engine은 MariaDB 10.2 부터 반영되었다.- MariaDB에서 외부 로컬 또는 원격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해주는 Storage Engine이다.- ODBC,JDBC를 통해 다른 DBMS 또는 제품(Excel)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액세스 할 수 있다. - Connect Stroage Engine은 테이블 파티셔닝, MariaDB 가상 칼럼을 지원하며 ROWID, F..

기존 MariaDB를 Replication을 걸어두고 윗단에 Maxscale을 두어서 Auto Failover / VIP 접근 / READ & WRITE 분산을 테스트 해보았다. 아직까지 Replication에서 쓰고있는 고객들은 보지 못하였지만 나중을 위해 테스트해본 것을 기록하였다. 0.TEST 환경 Master 172.40.40.189 Slave 172.40.40.188 Maxscale 172.40.40.187 1.MAXSCALE 설치 ** 1.필요 library 설치 ** [root@maxscale ~]# yum -y install libcurl libaio openssl gnutls libatomic ** 2.Maxscale 유저 그룹 생성 ** [root@maxscale ~]# groupadd..

오늘은 Oracle Database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Background Process에 대해서 글을 써볼 생각이다. Oracle 필수 Background Process는 Oracle Server가 시작되면서 함께 시작되고 Oracle Server가 종료되면 같이 종료된다. * 필수 Background Process중 하나가 죽게되면 Oracle Server는 죽게된다. DBWR ( Database Writer ) - DBWR은 Database Buffer-Cache에서 변경 완료후 저장되어야하는 블록 ( Dirty Block )을 데이터 파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 DBWR은 기본적으로 DBW0 하나가 작동을 하지만 I/O가 많이 추가로 더 필요한 경우 DBW1 ~ DBW9를 동시에 사용하여 ..

테이블의 데이터를 읽는 방식으로는 크게 Full Table Scan, Index Range Scan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Full Table Scan은 느리다고 생각되어 쓰지 않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DW 용도로 Database를 사용하는 경우 Full Table Scan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번에는 Full Table Scan에 대해 공부해보려고한다. FULL TABLE SCAN (FTS) 1) FTS이 발생하는 경우 상황 설명 적용 가능한 인덱스가 없는 경우 적용할 인덱스가 있지만 칼럼 가공, 연산으로 인해 인덱스 사용이 불가능할때 넓은 범위의 데이터 액세스 인덱스 처리 범위가 넓어 전체 테이블 스캔이 더 적은 비용이 들경우 Tull Table Scan을 적..